수도권 2030년까지 135만 가구 착공, 대출 규제는 더 강화된다
정부가 2025년 9월 7일 발표한 [9·7 부동산 대책]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2030년까지 총 135만 가구의 주택 착공이 추진됩니다. 동시에 주택담보대출(LTV)과 전세대출 한도는 줄어들어 실수요자의 대출 문턱은 더 높아지게 됩니다.
수도권 주택 부족, 정부의 해법은 ‘착공 기준’ 공급 확대
최근 10년간 수도권에서는 연평균 25만 8,000가구가 착공됐지만, 2022~2024년 공사비 상승 여파로 평균 15만 8,000가구만 지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매년 9만 2,000가구가 부족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내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27만 가구, 총 134만 9,000가구 착공이라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단순한 ‘인허가 수치’가 아닌, 실제 ‘착공’을 기준으로 공급 계획을 수립한 것이 이번 대책의 특징입니다.
공공택지·재건축·도심 재개발 총동원
공급 물량은 다양한 방식으로 확보됩니다.
- 공공택지(LH 직접 시행): 37만 2,000가구
- 재건축·재개발 도심 주택: 36만 5,000가구
- 노후 시설 및 유휴 부지 활용: 3만 8,000가구
- 민간 신축 매입임대 및 비아파트: 57만 4,000가구
특히 LH가 직접 시행하는 방식으로 바꾸어 민간 분양 의존도를 낮추고, 공공 주도의 속도전을 통해 공급 절벽을 메우겠다는 전략입니다.
대출 규제 강화…LTV·전세대출 모두 줄어든다
주택 수요 억제를 위한 대출 규제도 강화됩니다.
- 규제지역 무주택자 LTV: 기존 50% → 40% 축소
- 수도권 1주택자 전세대출 한도: 2억 원으로 일괄 제한
이는 강남 3구와 용산구 등 규제지역에서의 과열을 막고, 전세 수요를 줄여 안정적인 시장을 만들기 위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이번 대책이 의미하는 점
정부는 공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강력한 착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동시에 대출 규제를 통해 시장 과열을 막겠다는 투트랙 전략을 내놨습니다.
앞으로 수도권 주택 시장은 ‘공급 확대’와 ‘대출 축소’라는 상반된 정책의 균형 속에서 변화를 맞게 될 것입니다. 무주택 실수요자라면, 주택 구매와 전세 대출 전략을 다시 한번 꼼꼼히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