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계약을 앞두고 있는 분들이 가장 많이 찾는 정보 중 하나가 바로 전세자금대출 조건입니다.
특히 2025년에는 금리·대출 규제가 바뀌면서, 무주택자와 1주택자의 조건이 다르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전세자금대출 조건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전세자금대출이란?
전세보증금을 마련하기 위해 은행에서 빌리는 자금입니다.
주택도시기금, 시중은행, 정책상품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소득·자산·주택 보유 여부에 따라 조건이 달라집니다.
✅ 2025년 전세자금대출 조건
1. 무주택자 기준
- 부부 합산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다자녀 가구는 8천만 원까지 가능)
- 순자산 5억 원 이하
- 전세보증금 수도권 5억 원, 지방 3억 원 이하 주택 가능
- 금리: 연 2%대 초반 ~ 3%대 후반
2. 1주택자 기준 (일시적 2주택 포함)
- 기존 주택을 처분 조건으로 대출 가능
- 고가주택(공시가격 9억 초과) 보유자는 불가
- 전세보증금 수도권 3억 원, 지방 2억 원 이하 주택 가능
- 금리: 일반형은 연 3%대 후반 이상
📊 대출 한도
구분대출 한도
무주택자 | 최대 2억 원 (서울 기준) |
신혼부부 | 최대 2억 2천만 원 |
1주택자 | 최대 1억 5천만 원 |
👉 단, 은행·상품별로 차이가 있으며, 보증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 전세자금대출 받을 때 체크리스트
- 보증보험 가입 필수: HUG, HF, SGI 중 선택
- 임대차 계약 신고 확인: 확정일자 반드시 받아야 안전
- 중도상환 수수료 확인: 일부 은행은 조기상환 시 수수료 발생
✅ 정리
- 무주택자는 조건이 가장 유리하며, 신혼부부·다자녀 가구는 우대금리 적용이 가능합니다.
- 1주택자는 처분 조건이 붙고, 고가주택 보유 시 대출이 불가합니다.
- 2025년 현재, 전세보증금 상한선은 수도권 5억 원, 지방 3억 원 기준이 많습니다.